반응형
네이버통장은 카카오페이증권 장점과 단점 총정리 핀테크가 대세
네이버파이낸셜이 ‘네이버통장’을 8일 출시하며
금융 부문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같은 날 카카오페이는 은행 제휴 통장을 내놓으며 맞불을 놨다.
정보기술(IT) 공룡들의 경쟁이 금융으로 옮겨붙는 양상이다.
네이버파이낸셜은 이날 미래에셋대우와 손잡고 비대면
종합자산관리계좌(CMA)인 네이버통장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
가장 큰 특징은 연 3% 수익률이다.
원금이 100만원 이내면 오는 8월 말까지는 이용실적에 관계없이,
9월부터는 전월 10만원 이상 결제 시 연 3% 수익을 지급한다.
네이버페이와의 연계도 강화했다.
네이버통장에서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충전해 결제하면
결제액의 3%를 포인트로 돌려준다.
최인혁 네이버파이낸셜 대표는
“저금리 시대에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금융 혜택을 누리게 하는 것이 목표”라며
“금융 이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던 금융 소외계층을
아우를 수 있는 서비스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통장은 카카오페이증권 계좌와 여러 면에서 비슷하다.
카카오페이는 지난 2월 자회사인 카카오페이증권을 출범시켰다.
기존 ‘카카오페이머니’를 사용하던 금융 소비자들이 이를
증권 계좌로 손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했다.
증권 계좌는 출시 두 달 반 만에 100만 계좌를 돌파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페이머니를 증권 계좌로 업그레이드하면
5월 말까지 연 5% 수익을 제공했다.
지난달에는 이 계좌에서 결제하면 금액의 3%를
캐시백해주는 이벤트도 열었다.
출시 후 석 달이 되는 8월 말까지 연 3% 수익률과
결제액의 3%를 포인트로 돌려주는 네이버통장과 혜택이 비슷하다.
네이버통장은 공교롭게도 카카오페이증권
계좌 출시 이벤트가 모두 끝난 시점에 나왔다.
카카오페이는 같은 날 하나은행과의
제휴 통장을 선보이는 ‘정공법’을 택했다.
‘하나 카카오페이통장’은
우리, 농협, 기업은행 이후 네 번째로 은행과 제휴한 통장이다.
입출금식통장이지만 카카오페이머니의
충전 계좌로 등록하면 이체와 인출 수수료를 면제해준다.
증권 계좌로 한도 규제 벗어나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파이낸셜이 잇따라 증권 계좌를 출시한 건
선불전자지급 수단의 법적 한도를 우회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전자금융거래법은 ‘페이머니’와 같은 선불전자지급 수단의
한도를 200만원으로 규정하고 있다.
반면 네이버통장 같은 CMA 통장이나 카카오페이의
증권예탁 계좌에는 이런 제한이 없다.
200만원 이상을 넣어둘 수 있는 것은 물론 카카오페이증권 계좌는
5000만원 이내의 금액에 대해 예금자 보호까지 받는다.
-
선불전자지급 수단 한도 상향은 핀테크(금융기술)
업계의 오랜 숙원이었다.
지난해부터 한도 상향이 논의됐고 금융위원회는 올해 안으로
전자금융거래법을 개정해 선불전자지급 수단 충전과
이용 한도를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두 업체가 증권 계좌를 출시한 뒤엔 한도
상향보다 후불 결제 허용 등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핀테크 업계 관계자는 “다른 핀테크 업체는 할 수 없는
증권사 인수나 증권사의 막대한 투자를 바탕으로 우회로를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