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아무노래 깡이 불러온 밈챌린지 다음은 유빈 넵넵 챌린지 넵넵 뮤비 보기

by 매일매일바람은분다 2020. 5. 27.
반응형
아무노래 깡이 불러온 밈챌린지 다음은 유빈 넵넵 챌린지 넵넵 뮤비 보기



숏 비디오 콘텐츠 플랫폼 ‘틱톡’을 비롯해 ‘유튜브’, ‘페이스북’ 등에는 각양각색의 콘텐츠가 올라온다. 
최근 인기를 끄는 것은 ‘밈 챌린지’다.

대표적인 밈 챌린지로 꼽히는 콘텐츠들. 왼쪽부터 아무노래, 깡, 넵넵. /사진=틱톡 콘텐츠 갈무리

본래 ‘밈(Meme)’은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라는 책에서 문화 정보가 확산하는 것을 설명할 때 쓴 용어다. 하지만 누리꾼들은 재미 요소를 적절히 섞은 온라인 콘텐츠를 ‘밈’으로 통칭한다. 여기에 도전을 뜻하는 ‘챌린지’를 더한 것이 ‘밈 챌린지’다. 밈 챌린지는 재미를 위해 재생산하는 패러디 형태의 콘텐츠가 주를 이룬다. 누군가가 올린 콘텐츠를 보고 다른 이들이 따라하는 형태로 소셜 미디어를 들썩이게 하며 빠르게 퍼져 나가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를 예를 들면 지코의 ‘아무노래’, 비의 ‘깡’ 안무를 따라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원더걸스 출신 유빈도 밈 챌린지 대열에 합류했다.


넵넵 챌린지, 이렇게 만들어졌다

유빈은 지난 21일 발매한 디지털 싱글 ‘넵넵(ME TIME)’을 활용한 ‘넵넵 챌린지’를 공개했다. 넵넵은 이른바 ‘넵병(넵이라고 대답하는 것을 반복하는 현상)’에 걸린 사람들을 위로하는 컨셉트의 힙합곡이다.




유빈이 신곡 넵넵을 활용한 밈 챌린지 콘텐츠를 틱톡에 게재했다. /사진=틱톡 콘텐츠 갈무리

유빈은 필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앱) ‘유라이크(ULIKE)’에서 지원하는 넵넵 템플릿을 활용해 콘텐츠를 만들었다. 템플릿을 활용하면 8장의 사진을 지정하는 것만으로 20초 분량의 숏 비디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유빈이 움짤(움직이는 형태의 사진)과 노래를 포함한 넵넵 챌린지 콘텐츠를 만들어 틱톡에 게재하자 이를 따라하는 이용자들이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하는 문화를 형성했다.



아무노래·깡이랑 어떻게 다른데?

유빈의 넵넵 챌린지는 온라인에서 화제가 된 아무노래·깡 콘텐츠와는 다른 형태다.

아무노래의 경우 경쾌한 리듬에 맞춰 간소한 동작을 따라하는 콘텐츠로 SNS에서 화제를 모았다. 지코가 화사(마마무), 청하, 산다라박 등과 커플 챌린지 형태로 제작한 버전이 유행하자 친구, 가족, 지인들과 어울려 만든 콘텐츠가 트렌드로 떠올랐다. 틱톡, 페이스북 등 다양한 플랫폼에 퍼져나갔다.

가수 비의 깡 뮤직비디오 중 한 장면. /사진=유튜브 갈무리

가수 비의 노래 ‘깡’은 유튜브를 통해 ‘역주행’한 콘텐츠다. 3년전 비가 데뷔 15주년을 맞아 발매한 깡은 차트 진입조차 하지 못한 채 잊혀졌지만 최근 유튜브 등에서 패러디 영상이 화제가 되며 회자된 사례다. 격렬한 안무를 따라하는 것이 키포인트인 만큼 유튜브에 게재된 뮤직비디오도 지난 23일 기준 조회수 1000만회를 돌파했다. 비 본인조차 방송에서 “1일 3깡을 해달라”고 밝히는 등 콘텐츠 소재로 활용하고 있다.

안무를 따라하는 것으로 개성을 표현했던 두 노래의 밈과는 달리 넵넵 콘텐츠는 사진 8장으로 쉽게 도전할 수 있다. 아무노래·깡 챌린지처럼 안무를 따라할 필요도 없고 사진만 골라 놓는다면 만드는 시간도 1분이 걸리지 않는다. 안무를 패러디했던 밈 문화의 변주다.


마케팅? 재밌으면 따라오지

일각에서는 밈 챌린지가 바이럴마케팅 수단으로 소비된다고 지적한다. 바이럴마케팅은 온라인에서 전파 가능한 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제품 등을 홍보하는 수단이다. 전통적인 마케팅과 달리 콘텐츠나 제품의 영향력에 따라 확산 속도도 차이를 보인다.

반면 콘텐츠업계는 숏 비디오 콘텐츠를 선호하는 트렌드일 뿐이라며 지나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밈 챌린지를 만들더라도 재미가 없거나 관심을 받지 못할 경우 자연스럽게 소멸된다는 이유에서다.

콘텐츠업계 관계자는 “밈 챌린지는 Z세대가 향유하는 재미, 소통, 참여에 가치를 둔 트렌드에 정확히 부합하는 콘텐츠”라며 “앱 하나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쉽게 따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형태의 밈이 챌린지에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반응형

댓글